반응형
이번에는 지난 시간에 이어 현금 및 현금성 자산 파트에서 '은행계정 조정표'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 은행계정 조정표
1. 은행계정 조정표의 정의
- 정의: 현금자산의 정확한 금액을 파악하기 위해 기업 회계장부상의 예금거래 내역과 은행이 제시하는 거래기록(은행거래 내역서)을 대조할 때 작성하는 표
- 예금거래 내역과 은행거래 내역서 상의 차이 원인 (주로 양 측의 기록시점의 차이 때문에 발생함)
① 미기록예금 - 타사 발행수표를 은행에 입금하면서 기업 측에서는 당좌예금 계정에 기록하였으나, 은행의 당좌예금 계정에 아직 기록되지 않아 은행 측 잔액이 과소계상된 경우 → 은행거래 내역서상 잔액 +
② 기발행 미인출 수표 - 기업이 수표를 발행하였으나 수표 수취인이 아직 은행에 지급을 요구하지 않아 은행측 잔액이 과대계상된 경우 → 은행거래 내역서상 잔액 -
③ 미통지 예금 - 거래처에서 대금결제를 위해 기업의 당좌예금 계좌에 직접 예입하였으나, 기업이 이를 아직 통보받지 않아 기업 측 잔액이 과소계상된 경우 → 기업의 당좌예금 잔액 +
④ 은행 수수료 - 당좌차월에 대한 은행서비스 수수료가 당좌계좌에서 차감되었으나, 기업은 아직 통보받지 않아 기록하지 않게 되어 기업 측 잔액이 과대계상된 경우 → 기업의 당좌예금 잔액 -
⑤ 부도수표 - 기업은 타사로부터 받은 수표를 은행에 예입하고 당좌예금이 증가를 기록하였으나, 타사의 은행잔고 부족으로 지급이 거절되어 반송된 경우, 은행 측은 당좌예금 계정에서 해당 금액을 차감하였으나 기업은 아직 이를 기록하지 않아서 기업의 장부가 과대계상되는 경우 → 기업의 당좌예금 잔액 -
⑥ 기장오류 - 기업과 은행 중 한 편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2. 은행계정 조정표의 작성과 결산정리분개
- 결산정리분개: 기업측의 조정사항,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만 결산 정리 분개를 한다.
- 은행계정 조정표 조정 방향
구 분 | 은행거래 내역서상 잔액 | 기업의 당좌예금계정 잔액 |
.미기록 예금 .기발행 미인출 수표 |
가산 (+) 차감 (-) |
조정 없음 |
.미통지 예금 .이자 수익 .은행 수수료 .부도수표 .당좌차월 이자 |
조정 없음 | 가산 (+) 가산 (+) 차감 (-) 차감 (-) 차감 (-) |
▣ 내부통제제도
1. 내부통제제도의 정의
- 정의: 기업의 자산을 보호하고 회계기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구축하는 모든 정책과 절차를 말함. 회계에 대한 제도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업무 절차 및 업무 환경에 대한 사항도 포함.
2. 현금 입출금에 대한 통제
- 권한과 책임의 부여 및 제한 - 현금 입출금에 대해서는 소수의 지정된 인원에게만 현금 출납을 담당하도록 권한과 책임을 부여해야 함. 따라서 다른 사람들이 현금에 접근할 수 없어야 함.
- 업무의 분장 - 기업의 경영활동 전반에서 이루어지는 현금의 지급과 수취에 대한 업무 영역별로 별도의 담당자가 지정되어야 함. 한 사람이 두 업무를 다 할 수 있으면 부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짐.
3. 문서화 및 검증절차
- 문서화 - 모든 현금의 입출금은 즉시 전산시스템 내의 현금 출납장과 같은 내부양식에 기록(문서화) 되어야 함. 그래야 추후에 현금의 사용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있음.
- 검증 절차 - 현금 입출금 내역이 즉각 문서화되더라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은행계정 조정표를 작성함으로써 현금 보유상황을 파악해야 함.
4. 내부 회계 관리 제도
- 우리나라에서는 내부 통제 제도를 내부 회계 관리 제도라는 명칭으로 실시 중임.
♠ 같이 보시면 좋은 게시물
반응형
'경영대학원(MB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회계]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1 (0) | 2023.03.04 |
---|---|
[재무회계] 포괄손익계산서 작성원칙 (0) | 2023.01.05 |
[재무회계] 재무상태표의 작성 원칙 - 2 (계정과목) (0) | 2023.01.03 |
[재무회계] 재무상태표의 작성 원칙 - 1 (0) | 2023.01.01 |
[재무회계] 재무 보고를 위한 개념 체계 (0) | 2022.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