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포괄손익계산서: 일정기간 동안 기업의 경영성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재무보고서로서, 당기순손익, 기타포괄손익, 총포괄손익을 일정한 형식에 따라 나타냄.
▣ 포괄손익계산서 작성양식
- 국제회계기준은 기업이 다음 두 가지 방법 중 택일하여 공시하는 것을 허용.
① 단일 포괄손익계산서: 당기순손익의 구성요소와 기타포괄손익의 구성요소를 이어서 함께 표시
② 두 개의 보고서: 당기순손익의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보고서(별개의 손익계산서)와 당기순손익에서 시작하여 기타포괄손익의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보고서(포괄손익계산서)
▣ 포괄손익계산서 손익의 분류
- 총수익 > 총비용 → 당기순이익
- 총수익 < 총비용 → 당기순손실
▣ 회계 기간
- 회계기간은 통상 1년을 단위 기간으로 함
- 1년 단위 회계기간을 대상으로 하는 재무제표는 연차재무제표
- 1년보다 짧은 회계기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중간재무보고라고 함 → 분기 또는 반기 재무제표
◈ 포괄손익계산서 계정과목 - 수익
- 수익: 재화의 판매 또는 용역의 제공과 같은 기업의 주요 경영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경제적 효익의 유입
- 수익의 분류
① 매출액: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총매출액에서 매출할인, 매출환입, 매출에누리 등을 차감한 금액
② 기타수익: 기업의 경상적 영업활동 이외의 활동으로부터 발생한 수익
◈ 포괄손익계산서 계정과목 - 비용
- 비용: 재화의 판매 또는 용역의 제공과 같은 기업의 주된 수익창출을 위해 희생되거나 소비된 경제적 효익의 유출
- 비용의 분류: 비용을 분류할 때는 주로 매출원가, 판매비, 관리비 등 비용의 기능별로 분류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됨
◎ 주당이익
- 주당이익 (earnings per share; EPS): 주식 1주당 당기순손익으로서 포괄손익계산서의 제일 하단부에 공시함
- 기업의 수익성을 비교할 때 당기순이익 수치를 주로 사용하지만, 이 수치는 기업의 크기나 발행주식의 수를 반영하지 못함. 따라서 발행주식 수를 통제한 후 기업의 수익성을 비교할 필요가 있음.
- 주식 1주를 보유한 주주의 입장에서 기업이 이익을 얼마나 창출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 주가이익비율
- 해당 기업의 주가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주당이익이 얼마나 높은 수준인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가 바로 주가이익비율(price-earnings ratio; PER)로서, 주가를 EPS로 나누어서 계산
- 우리나라 기업들은 PER이 대략 11에서 13 사이이며, 성장성이 높은 산업일수록 PER이 높음
- 주가장부가치비율(price-book value ratio; PBR)도 주가의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종종 사용
▶ 별도재무제표와 연결재무제표
- 국제회계기준에서는 타기업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하는 경우, 이들 타기업을 포함하여 작성한 연결재무제표를 주된 재무제표로 작성하여 공시해야 함.
- 별도재무제표: 모든 기업이 자신을 하나의 경제실체로 해서 개별적으로 작성하는 재무제표
연결재무제표: 법률적으로 독립적인 회사들이라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지배와 종속의 관계에 있는 회사들을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간주하여 작성하는 재무제표. 즉, 모든 회사는 별도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하는데, 이 중에서 지배회사의 경우에는 연결재무제표를 추가로 작성해야 함. (지배회사: 타 회사를 지배하는 투자회사, 종속회사: 지배받는 피투자회사)
반응형
'경영대학원(MB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회계]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2 (은행계정 조정표) (0) | 2023.03.05 |
---|---|
[재무회계]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1 (0) | 2023.03.04 |
[재무회계] 재무상태표의 작성 원칙 - 2 (계정과목) (0) | 2023.01.03 |
[재무회계] 재무상태표의 작성 원칙 - 1 (0) | 2023.01.01 |
[재무회계] 재무 보고를 위한 개념 체계 (0) | 2022.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