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게시물부터는 현금 및 현금성 자산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자주 듣던 용어들도 많지만 저도 이번에 대학원 수업을 들으면서 처음 깨닫게 된 것도 있고, 지금까지 잘못 사용했던 말들도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혹시 재무회계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천천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의 구성

1.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현금(cash): 통화 및 자기앞수표, 당좌수표, 우편환증서, 채권의 이자표 등 통화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통화대용증권과 당좌예금, 요구불예금
  • 현금성자산( cash equivalent): 확정되 금액의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가치변동의 위험이 경미한, 취득일로부터 만기 3개월 이내인 단기금융상품 (예: 채권이나 정기예금)
  • 만기가 3개월 이상 남은 단기 금융 상품이라면 현금성 자산이 아니라 단기 금융 자산으로 분류함.
  • 재무상태표에는 현금과 현금성 자산을 합해 현금 및 현금성 자이라고 단일 계정으로 보고함.

2. 당좌예금 (checking account)과 당좌차월 (bank overdraft account)

  • 당좌예금: 이자는 없지만 자금의 지급을 손쉽게 하기 위해서 개설한 예금. 기업이 수시로 입금/출금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수표(당좌수표)를 발행하여 예금을 지출할 수 있는 특수한 형태의 예금
  • 당좌예금 계좌를 만들어 예금을 해두고, 자금을 지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당좌수표 용지에 지출 금액을 적어 거래 상대방에게 교부함. 수표를 보유한 사람이 은행에 수표를 제시하면 은행은 수표에 명시된 금액을 지불.
  • 다량의 현금을 직접 보유하면 분실이나 도난의 위험이 있으나, 수표를 발행하여 대금을 지급하면 분실이나 도난의 위험을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널리 사용됨.
  • 당좌예금 거래를 위해서는 사전에 은행과 당좌거래 약정을 체결해야 하며, 당좌차월 약정을 맺으면 잔액이 없어도 일정 한도까지 당좌예금의 잔액을 초과하여 수표를 발행할 수 있는 당좌차월(단기차입금) 발생.

▣ 소액 현금 제도와 현금과부족

1. 소액 현금 제도 (petty cash system)

  • 정의: 일정한 금액을 현금 출납담당자가 보관하면서 소액의 현금 지급이 필요한 경우, 보관하고 있는 현금에서 지급하도록 하는 제도. 소액의 지출이 필요한 경우도 모두 당좌수표를 발행하여 지불하면 번거로우므로 소액 현금 제도를 운영함.

2. 현금과부족

  • 정의: 현금 실제 보유액과 출납장 상의 잔액 일치 여부의 확인 결과 발견된 차액을 임시로 회계처리하기 위한 계정. 원인이 밝혀지면 그 원인에 맞게 회계처리하고, 밝혀지지 않으면 결산일에 잡이익 또는 잡손실로 처리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