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ess나 must를 써서 이런저런 추측을 표현하는 패턴들을 만들 수 있다. 생각보다 일상적인 대화에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아래의 각 패턴별 예문들을 주의해서 살펴보자.
1. I guess~ (추측컨대) ~인 것 같아
guess는 '추측하다'라는 뜻으로 I guess~는 어떤 것에 대한 확실한 정보나 지식 없이 상황을 추측할 때나 조심스레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보통 I think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 I guess~패턴도 사용해보자.
- I guess you're right. (네가 맞는 것 같아)
- I guess it's for the best. (그게 최선인 것 같아요)
- I guess that's all. (그게 전부일 것 같아요)
- I guess we will never forget this. (우린 이것을 절대 잊지 못할 거예요)
- [영작] 칼리가 그 직책을 원하는 것 같아. (Carly, position) → I guess (Carly wants the position.)
2. Guess what~? (뭐가 ~하는지 알아?)
직역하면 '뭐가 ~인지 맞혀 봐'라는 뜻이지만, 그보다는 얘기를 시작하기 전에 '~가 뭔지 알아?' 하며 운을 뗄 때 많이 사용하는 패턴이다. 간단히 Guess what! (있잖아!)으로도 자주 사용된다.
- Guess what's next? (다음이 뭐게?)
- Guess what I just heard? (내가 방금 무슨 얘기 들은 줄 알아?)
- Guess what happened to me this morning? (오늘 아침 나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아?)
- Guess what they've been doing all day? (그들이 오늘 하루 종일 뭐 했는지 알아요?)
- [영작] 나 오늘 밤에 뭐 하는지 알아? (tonight) → Guess what (I am doing tonight?)
3. Guess who~? (누가 ~하는지 알아?)
이 패턴 역시 '내가 누구 만날 줄 알아?' 하면서 얘기를 꺼낼 때 사용하기 좋은 표현이다. 간단히 Guess who? 하면 상대방의 눈을 가리고 '누구게?' 하고 묻는 표현이 된다.
- Guess who I saw in the subway? (내가 지하철에서 누굴 본 줄 알아?)
- Guess who I ran into yesterday? (어제 내가 누구랑 마주쳤는지 알아?) (※ run into ~와 우연히 만나다)
- Guess who is calling? (누가 전화했는지 알아?)
- Guess who is coming to dinner? (저녁 식사에 누가 오는 줄 알아?)
- [영작] 어젯밤에 누가 들렀게? (come over) → Guess who (came over last night?)
4. must be~ (분명히 ~일 거야)
must는 '~해야 한다'는 '의무'를 나타낼 때뿐 아니라, 이렇게 강한 추측을 나타낼 때도 사용된다. 현재의 상태를 추측해서 말할 때는 must be 뒤에 형용사나 현재분사를 붙이면 된다.
- You must be so proud. (정말 자랑스러우시겠어요)
- He must be fed up with me. (그는 분명 나에게 질렸을 거야) (※ feed up with 싫증 나게 하가, 질리게 하다)
- She must be feeling awfully lonely. (그녀는 지금 무지 외로울 거야)
- This must be really hard on you. (이건 정말 당신에게 힘들겠어요)
- [영작] 너 배 많이 고프겠다. (starving) → (You) must be (strarving so much.)
5. must have + p.p. (분명히 ~였을 거야)
must be~가 현재 상태에 대한 추측이라면, 과거에 대한 추측은 [must have + p.p.] 패턴을 사용하면 된다. '분명히 ~했을 거야', '틀림없이 ~였겠구나'라는 뜻이다.
- You must have hated him. (너 분명 그를 싫어했을 거야)
- He must have forgotten this. (그는 분명히 이걸 잊어버렸을 거야)
- It must have been expensive. (그거 몹시 비쌀 거야)
- You must have been very close to him. (너 그 사람이랑 아주 가까운 사이였을 거야)
- [영작] 무척 무서웠겠구나. (terrified) → (You) must have beeen (terrified.)
패턴 외에 나머지 단어들을 바꿔서, 자기만의 표현으로 소리 내어 연습해보자.
이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다면, 로그인 필요 없이 아래의 '♡공감' 눌러 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영어 공부와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회화 패턴] 능력과 소질 표현하는 패턴들 (0) | 2022.04.01 |
---|---|
[영어 회화 패턴] I can't를 써서 못하는 것 표현하기 (0) | 2022.03.29 |
[영어 회화 패턴] Seem을 사용해서 추측 표현하기 (0) | 2022.03.25 |
[영어 회화 패턴] Like를 이용해서 여러 느낌 표현하기 (0) | 2022.03.23 |
[영어 회화 패턴] 기분 표현하기 (Feel) (0) | 2022.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