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말에서 '충고하기'와 비슷한 의미와 활용도를 가지고 있는 게 바로 '조언하기'이다. 뉘앙스가 비슷하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혼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굳이 이 둘을 구분하자면, '충고하기'는 '반드시 또는 웬만하면 ~해'라며 의무성, 강제성이 강조되고, '조언하기'는 '~하는 게 어때?'라는 정도로 구분하면 될 것 같다. 우리나라 말로는 솔직히 구분하지 않지만, 영어 패턴으로 보자면 어느 정도는 구분 지을 수 있다.
1. You should~ (~하는 게 좋겠어)
should는 '~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must나 have to보다는 약한 의미로 '~해야겠다', '~하는 게 좋겠어' 정도의 뉘앙스를 가진다. 따라서 상대방에게 조언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앞쪽에 I think를 붙이면 더 조심스럽게 조언하는 패턴이 된다.
- You should get your hair cut. (머리카락 자르는 게 좋겠어)
- You should learn how to cook. (넌 요리하는 법을 좀 배우는 게 좋겠어)
- You should try to eat more vegetables. (채소를 더 많이 먹는 게 좋을거야)
- You should act your age. (나이에 맞게 행동하는 게 좋겠어) (※ act one's age 나이에 걸맞게 행동하다)
- [영작] 체중을 좀 줄이셔야겠어요. (slim down) → You should (slim down.)
2. You shouldn't~ (~하면 안 돼)
You shouldn't~는 You should~의 부정 표현으로 상대방에게 무언가를 하지 말라고 조언할 때 사용된다. 이 역시 더 조심스럽게 말하고 싶다면 I don't think you should~ (~하지 않는 게 좋겠어)를 사용해보자.
- You shouldn't skip meals. (식사 거르면 안 돼)
- You shouldn't quit so easily. (그렇게 쉽게 그만두지 않는 게 좋겠어)
- You shouldn't act like that. (그런 식으로 행동하지 않는 게 좋겠어요)
- You shouldn't bite your fingernails. (손톱을 물어뜯으면 안 돼)
- [영작] 8시 이후에는 먹으면 안 돼. (eat after) → You shouldn't (eat after 8:00.)
3. You'd better~ (~하는 게 좋겠어)
You'd better~는 '~하는 게 좋을 거야'라는 뜻이지만, 그 속에는 '~안 하면 안 좋을 거야'라는 다소 강한 권고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수위를 한 단계 낮춰서 말하고 싶다면 I think you'd better~ 또는 Maybe you'd better~라고 말해보자.
- You'd better get some sleep. (잠을 좀 자두는 게 좋겠어)
- You'd better go see a doctor. (병원에 가서 진료받아보는 게 좋을 거야)
- You'd better get a lawyer. (변호사를 고용하는 게 좋겠어)
- You'd better stay away from him. (그에게서 떨어지는 게 좋겠어) (※ stay away from ~에게서 떨어지다)
- [영작] 사과하는 게 좋을 거다. (apologize) → You'd better (apologize.)
4. You need to~ (너 ~해야 해)
You should~보다는 약간 더 강하고, '꼭 ~해야 해'의 의미인 You have to~보다는 강제하는 정도가 약한 패턴이다.
- You need to get cleaned up. (너 좀 씻어야겠다)
- You need to get over her. (그녈 잊어야지) (※ get over 헤어나다, 극복하다)
- You need to do this right away. (너 지금 당장 이거 해야 해)
- You need to settle down. (너도 결혼해서 자리 잡아야지)
- [영작] 넌 공부 좀 더 해야 해. (study) → You need to (study more.)
5. You don't need to~ (넌 ~할 필요 없어)
'~할 필요 없어', '~하지 않아도 돼'의 의미로 사용할 수 있는 패턴이다. 즉, '네가 만약 ~하고 싶다면 ~해도 되지만 굳이 그럴 필요는 없어'라는 뉘앙스이다.
- You don't need to be there early. (거기 일찍 갈 필요 없어요)
- You don't need to tell the whole story. (모든 이야기를 다 하실 필요는 없어요)
- You don't need to know the details of this project. (당신이 이 프로젝트의 세부내용을 알 필요는 없어요)
- You don't need to feel bad about this. (이것 때문에 마음 상할 필요 없어)
- [영작] 미안해할 필요 없어. (feel, sorry) → You don't need to (feel sorry.)
그리 어려운 패턴들은 없다. 미드나 영화에서도 많이 나오는 패턴들이기 때문에 시간 날 때 한 번씩 읽어보기 바란다.
'영어 공부와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회화 패턴] 경고하기 (Warn) (0) | 2022.03.20 |
---|---|
[영어 회화 패턴] 충고하기 (Must) (0) | 2022.03.18 |
[영어 회화 패턴] 당부하기 (0) | 2022.03.15 |
[영어 회화 패턴] 권유하기 (0) | 2022.03.14 |
[영어 회화 패턴] 도움 주거나 요청하기 (Help) (0) | 2022.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