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상대방의 허락이나 양해를 구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여러 패턴들을 알아본다.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업무 회의 등 공적인 자리에서도 많이 쓰이는 패턴들이 많이 소개된다. 집중해서 살펴보자.
1. Can I~? (~해도 될까요?)
이 패턴은 '~해도 될까요?' 하면서 상대방에게 허락을 구하는 표현이다. 자기가 원하는 것을 하기 전에 이렇게 물어보면 보다 공손한 사람으로 인식될 수 있다. 보다 정중한 표현으로는 May I~? 가 있지만 친한 사이나 같이 일을 하는 동료끼리는 주로 Can I~? 패턴을 많이 쓰는 듯하다.
- Can I borrow your pen for a minute? (잠시 펜 좀 빌려도 될까요?)
- Can I come with you? (제가 같이 가도 될까요?)
- Can I get your cellphone number? (당신 전화번호 좀 알려 주실래요?)
- Can I have the day off? (오늘 하루 쉬어도 될까요?) (※ have the day off 오늘 쉬다)
- [영작] 너희 집에 가도 돼? (come over) → Can I (come over to your house?)
2. Is it okay if~? (~해도 될까요?)
뭔가를 하기 전에 '~해도 될까요?' 하면서 상대방에게 양해를 구하거나, 허가를 맡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패턴이다. okay 대신 all right을 써서 Is it all right if~?라고 말해도 같은 의미이다.
- Is it okay if I call you? (선생님께 전화드려도 될까요?)
- Is it okay if I smoke here? (여기에서 담배 피워도 될까요?)
- Is it okay if we stop at the bank? (은행에 잠깐 들러도 될까요?)
- Is it okay if I ask you a personal question? (개인적인 질문을 드려도 될까요?)
- [영작] 그거 나중에 돌려줘도 괜찮아? (give it back, later) → Is it okay if (I give it back to you later?)
3. Is it all right to~? (~해도 괜찮을까요?)
이 역시 상대방의 양해나 사전에 허락을 득하기 위해 쓸 수 있는 패턴이다. okay는 주로 미국에서, all right은 영국식 영어에서 많이 쓰인다고 한다. 뒤에 문장을 붙이고 싶다면 if 절로, 동사구만 붙이고 싶다면 to 부정사 형태로 쓰면 된다.
- Is it all right sit here? (여기 앉아도 될까요?)
- Is it all right take pictures? (사진 찍어도 괜찮을까요?)
- Is it all right to borrow your car? (차 좀 빌려도 돼?)
- Is it all right to bring my dogs? (개들을 데려가도 될까요?)
- [영작] 제시카를 초대해도 괜찮아요? (invite) → Is it all right to (invite Jesicca?)
4. Do you mind if~? (~해도 괜찮을까요?)
여기에서 mind는 '~를 싫어하다, 꺼리다'라는 뜻이 있기 때문에 Do you mind if I sit here? (제가 여기 앉아도 괜찮을까요?)와 같은 질문에 Yes와 No를 잘 구분해서 대답해야 한다. Yes라면 '예, 꺼려요, 싫어요'라는 거절의 뜻이기 때문에 대답할 때 주의해야 한다.
- Do you mind if I sit next to you? (옆에 앉아도 될까요?)
- Do you mind if I leave early? (일찍 떠나도 될까요?)
- Do you mind if I have a look around? (한번 둘러봐도 괜찮을까요?)
- Do you mind if we postpone our meeting? (우리 회의를 미뤄도 괜찮을까요?) (※ postpone 연기하다, 미루다)
- [영작] 의자를 뒤로 젖혀도 될까요? (lean back) → Do you mind if (I lean back?)
5. You're not allowed to~? (~하시면 안 돼요?)
보통 공적인 자리에서 주로 쓰이지만 일상생활에서도 꽤 많이 사용되는 패턴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정해진 규칙이 있는데 상대방이 그것을 어겼을 때 '그렇게 ~하시면 안 돼요'라고 말할 때 쓸 수 있다.
- You're not allowed to go in there. (거기 가시면 안 됩니다)
- You're not allowed to smoke in this building. (이 건물에서는 금연입니다)
- You're not allowed to park here. (여기에 주차하시면 안 됩니다)
- You're not allowed to use your cell phone in here. (여기에서 휴대폰 사용하시면 안 됩니다)
- [영작] 여기서는 일본말을 사용하시면 안 돼요. (use) → You're not allowed to (use Japanese in here.)
앞서 이야기한 대로 위의 표현들을 많이 쓰이는 패턴들이기 때문에 익숙해지도록 연습해보자.
'영어 공부와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회화 패턴] 도움 주거나 요청하기 (Help) (0) | 2022.03.11 |
---|---|
[영어 회화 패턴] 부탁하기 (Would you~?) (0) | 2022.03.06 |
[영어 회화 패턴] 이유 물어보기 (Why) (0) | 2022.03.03 |
[영어 회화 패턴] 궁금한 것 물어보기 (Wonder) (0) | 2022.03.02 |
[영어 회화 패턴] 확인하기 (Sure) (0) | 2022.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