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에는 어떤 상황에 대해 확신할 때, 의심이 갈 때 어떤 패턴을 이용해서 표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본다. 자기 말을 믿어 달라고 강하게 말할 때는 확신을 줄 수 있는 패턴을, 그 아래에 소개되는 suspicious나 doubt을 사용한 표현들은 뭔가 미심쩍을 때 사용하면 된다.

 

 

1. I'm sure~ (분명히 ~야)

'내가 장담해', '분명하다니까' 하면서 자기가 확실하게 알고 있는 것을 말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패턴이다. I'm sure(난 확신해) 뒤에 보통 that 절을 붙여 확신하는 내용을 말하면 되는데, 이때 that은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진짜 확신한다'라고 강조하고 싶으면 quite을 써서, I'm quite sure~라고 하면 된다.

  • I'm sure that I was right. (내 말이 분명히 맞았다니까)
  • I'm sure that things will work out. (분명 다 잘 될 거에요) (※ work out 잘 풀리다)
  • I'm sure that he's cheating on his wife. (그는 분명 와이프 몰래 바람을 피운 게 확실해)
  • I'm sure you will have another chance. (네게 또 다른 기회가 분명히 있을거야)
  • [영작] 그는 분명 낙담했을 거야. (frustrated) → I'm sure (he was frustrated.)

[확신 또는 의심하기 - Sure]

 

2. I'm not sure~ (~인지 잘 모르겠어)

I'm sure와는 반대로 어떤 사실이나 상황에 대해 확신할 수 없거나 잘 모를 때 이 패턴을 쓸 수 있다. '그렇게 확신하지는 않아' 하고 중간 정도의 뉘앙스를 주려면 'I'm not so sure~'라고 하면 된다.

  • I'm not sure I'll be at the party. (파티에 갈지 잘 모르겠어)
  • I'm not sure that the bus stops here. (버스가 여기에 서는 건지 잘 모르겠어요)
  • I'm not sure that grandpa remembers. (할아버지가 기억을 하고 계셨는지 모르겠어)
  • I'm not sure I left it here. (그것을 여기에 두었는지 잘 모르겠어)
  • [영작] 네가 이해를 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어. (understand) → I'm not sure (that you understand.)

 

3. I'm certain~ (~라고 확신해)

certain은 '확실한'이라는 뜻으로 I'm certain~은 무언가에 대해 확신할 때 사용하는 패턴이다. 앞에서 소개된 I'm sure~와 같은 상황에서 쓸 수도 있다. 뒤에는 that 절을 통해 확신하는 내용을 추가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that이 생략되기고 한다.

  • I'm certain that you can do it. (난 네가 그걸 할 수 있을 거라 확신해)
  • I'm certain that you are qualified for the job. (네가 그 일에 적임자라고 확신해) (※ be qualified for ~에 적임자이다)
  • I'm certain you'll find a way. (난 네가 방법을 찾아낼 거라고 확신해)
  • I'm certain she dyed her hair. (그녀는 머리를 염색한 게 확실해)
  • [영작] 당신이 곧 승진할 거라고 확신합니다. (get a promotion) → I'm certain (that you will get a promotion soon.)

 

4. I'm suspicious of~ (~가 미심쩍어)

suspicious는 '의심스러운'이라는 뜻으로, 어떤 대상에 대해 자신의 미심쩍거나 불편한 감정을 드러낼 때 사용할 수 있는 패턴이다. '~가 좀 미심쩍어, 의심스러워'하면서 조심스럽게 말할 때는 I'm a little bit suspicious of~라고 하면 된다.

  • I'm suspicious of her behaivor. (그녀의 행동이 미심쩍어)
  • I'm suspicious of Jane's motives. (제인의 동기가 미심쩍은데요)
  • I'm suspicious of that guy at the bar. (바에서 만난 그 사람이 의심스러워)
  • I'm a little bit suspicious of your bulldog. (당신의 불도그가 의심스러워요)
  • [영작] 난 새로 들어온 이 직원이 미심쩍어. (employee) → I'm suspicious of (this new employee.)

 

5. I have doubts~ (난 ~가 의심스러워)

영 의심스러운 일이나 확신하지 못하는 일에 대해 말할 때 이 I have doubts~를 써서 표현할 수 있다.

  • I have doubts about his qualifications. (그 사람의 자격이 의심스러워)
  • I have doubts he got his Ph.D. (그가 박사학위를 땄다는 게 의심스러워)
  • I have doubts about whether she's telling the truth. (그녀가 진실을 말한 건지 아닌지 의심스러워)
  • I have doubts about getting married so early. (그렇게 일찍 결혼하는 것에 대해 회의가 들어)
  • [영작] 이 아이디어가 성공할지 의심스러워요. (idea, succeed) → I have doubts (that this idea will succeed.)

 

상황들을 잘 떠올려보면서 큰 소리로 몇 번씩 읽어보자. 짧은 문장들은 외워두는 걸 추천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